java를 배울때는 메뉴판을 do~while()로 메뉴선택을 반복했어요. 여기서는 if~else와 switch를 사용했습니다.
우선,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습니다.
(1) 22번줄 : document.write(b+b); 는 개행을 두 번 사용한 경우입니다. 만약 (bb)라고 작성했다면, 인식을 할수X.
이에비해, java에서는 2번 개행을 system.out.print('\n\n')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26~30번: case '1'와 같이 정수값에 따옴표를 붙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앞에서도 말했어요 !! var를 통해서 입력받은 값은 문자화가 됩니다. 따라서 case '1': 와같이 문자로 표기해두거나 parseInt로 정수화를 시켜서 case 1: 로 쓸 수 있습니다.
(3) 5번 : Date객체 a를 생성하면서 getSeconds()값을 입력받은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if~else if문장에서는 실행할때마다 달라지는 '현재 시간초'값에 따라 달라지는 출력값을 알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head>
<metacharset="UTF-8">
<title> 조건문을 이용한 메뉴판 </title>
<script>
var a =newDate().getSeconds();
var b ="<br>";
if(a<=11){
document.write("아침식사메뉴"+b);
document.write("1.계란후라이 씨리얼 우유"+b)
}
elseif(a>11&& a<=16){
document.write("점심식사메뉴"+b);
document.write("2.파스타"+b);
document.write("3.스테이크"+b)
}
elseif(a>16){
document.write("저녁식사메뉴"+b);
document.write("4.리조또"+b);
document.write("5.라면"+b);
}
document.write(b+b); //아래와 구분을 위해, 개행 두번
var menu = prompt("메뉴 주문하세요(1~5)")
switch(menu){
case'1': document.write("계란후라이는 아침에 제공됩니다."); br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