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ber객체 Number객체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할게요! 자주쓰이는 메서드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toFixed()를 이용해서 소수점을 표현하는 기능을 사용할거에요! MethodDescriptiontoExponential(x) 지수 형태로 변환 toFixed(x) 소수점 표현을 x 자릿 수만큼 표현 toPrecision(x) 전체 표현을 x 만큼 표현 toString() 문자열로 변환 valueOf() Number 객체의 원시 값을 반환 위의 메서드중에서 toFixed(x)를 이용해서 코드를 작성해봤습니다. 대체적으로 parseInt안에 실수를 넣을 경우 자연수만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new Number(실수)를 통해서 그대로 저장시켰다가 위의 메서드를 ..
예외처리란, java와 거의 유사합니다. try~catch문으로 이루어져있으며 try에서 발생된 에러는 catch(e)에서의 e오류객체가 생성되게 됩니다. 또한 try문에서 throw "~"를 통해서 catch문에서 e객체로 반환될 값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별 다른 예외처리의 설명할 것이 없기때문에 바로 코드를 작성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div{ background-color: green}; function guess(){ try{ var real=89; var num= document.getElementById('num').value; //입력값을 불러오기 if(num == "")..
배열객체연습 우선, a1부터 a6까지 배열을 만들면서 어떤 형식으로 저장되는지를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a1에 공백이라는 배열을 저장할 경우? 배열의 길이는 0이다. a2에 oracle, java, html의 세 가지값을 저장할 경우? 배열의 길이는 3이다. a3에 100을 저장할 경우? 배열의 길이는 1이다. a4라는 배열을 생성만 할경우? 배열의 길이는 0이다. a5라는 배열에 oracle, java, html을 저장할 경우? 배열의 길이는 3이다. a6라는 배열에 10을 저장할 경우, 배열의 길이는 10이다. 이를통해서 알수 잇는 것은 var 변수 = [값,값..]이라고 작성할 경우 : 값들의 개수가 배열의 길이입니다. var 변수 = new Array(값,값..)라고 작성할 경우 : 값들의 개..
Timer메서드란, 타이머 메서드들에 대하여 어느정도 정리를 해봤습니다. 메소드 설명 setTimeout(funtion, millisecond) 일정 시간 후 함수를 한 번만 실행 setinterval(function, millisecond) 일정 시간 마다 함수를 반복해서 실행 clearTimeout(id) 일정 시간 후 함수를 한 번 실행하는 것을 중지 clearlnterval(id) 일정 시간마다 함수를 반복하는 것을 중단 위의 내용들을 가지고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제1) "보입니다"라는 글을 1초마다 출력되다가 10초가되면 타이머가 종료되도록 프로그램을 만드세요. 우선, div태그를 통해서 한 줄에 출력될 공간을 만들어줘야됩니다. 그리고나서, 임의의 함수를 만들어줘야겟죠? 함수안에서 어떠..
객체란 무엇인가? 1) Object 객체선언에 대하여 [1] 객체 리터럴: 간결한 표현방법 Object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객체 리터럴표현 { ............ }을 이용하는 코드이다. 객체 내부의 맴버{ ........ }가 ,(콤마)로 구분되어져 있고, 맴버들은 이름:초기값으로 :(콜론)구분되어져 있습니다. 객체리터럴을 이용해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고, Object생성자를 이용해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1 2 3 4 5 6 7 8 9 var abc = { name: 'java', age : 18, plusAge : function (i) { this.age + i; } }; 위 코드는 객체 리터럴을 사용해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내부적으로 new Object를 수행한 후 맴버를..
Date()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Date를 어떻게 쓰는지를 알아야됩니다. 지금부터 설명해드릴게요. //1월-12월: 0-11이다. //시간: 0-23, 0-59, 0-59 //1,31은 => 2월 31일이니까 => 3월 3일이다. 첫번째. Date사용을 위해서, new를 이용해서 객체를 생성해 줍니다. => var now = new Date(); 두번째. 내장기능들이 어떤게 있는지를 알아야지 써먹을 수 있습니다. 굳이 외울 필요는 없지만, 객체.메서드를 통해서 나오는 값들을 아래를 통해서 어느정도 눈에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document.write(b+ now) Sat Apr 14 2018 21:20:19 GMT+0900 (대한민국 표준시) document.write(now.toString()) Sa..